맨위로가기

이탈리아의 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리아의 주는 이탈리아의 최상위 행정 구역으로, 20개의 레조네(Regione)로 구성된다. 이 중 5개는 특별 자치주(regione autonoma a statuto speciale)로, 헌법에 의해 더 넓은 자치권을 갖는다. 각 주는 공선된 수장(presidente), 평의회(giunta), 의회(consiglio regionale)를 가지며, 지역별로 상원 의원을 선출한다. 20개의 주 외에 107개의 하위 행정 구역이 있으며, 이는 80개의 주(Provincia), 14개의 광역시(Città metropolitana), 2개의 자치주(Province autonome), 6개의 코무네 자치 연합, 4개의 구 주, 1개의 아오스타 밸리로 구성된다. 이탈리아의 주는 통계적 목적에 따라 북서부, 북동부, 중부, 남부, 도서 지역의 5개 그룹으로 나뉘며, 경제적 수준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주 - 리구리아주
    리구리아주는 이탈리아 북서부의 좁고 긴 해안 주로, 리구리아해, 알프스산맥, 아펜니노산맥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제노바 공화국을 중심으로 해상 무역을 통해 번성했고, 현재는 제노바항 중심의 경제와 친퀘테레 등의 관광지, 페스토를 비롯한 요리 문화로 알려져 있다.
  • 이탈리아의 주 - 이탈리아의 레조네 그룹
    이탈리아의 레조네 그룹은 이탈리아 영토를 지리적, 역사적, 통계적 목적으로 구분하며, 지리적으로는 대륙, 반도, 도서 지역으로, 역사적으로는 통일 이전 상황에 따라, 통계적으로는 NUTS 1에 따라 5개 그룹으로 나뉜다.
  • 이탈리아의 행정 구역 - 코무네
    코무네는 이탈리아의 기초 자치 단체로, 시장이 이끄는 행정 구조를 가지며, 출생·사망 등록, 도로 유지 보수, 치안 유지 등 다양한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고, 2019년 기준으로 이탈리아에 7,918개가 존재한다.
  • 이탈리아의 행정 구역 - 이탈리아의 도
    이탈리아의 도는 주의 하위 행정 구역으로, 주도인 도청 소재지를 가지며 지방 계획, 치안, 교통 규제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어 2014년 광역시로 개편되기도 했다.
  • 이탈리아의 행정 구역 - 토스카나주
    토스카나주는 이탈리아 중부에 위치하여 아르노 강 유역을 중심으로 구릉지와 산악 지대가 펼쳐져 있고 르네상스의 중심지로서 풍부한 예술과 문화 유산을 자랑하며 다양한 경제 활동이 활발한 지역이다.
  • 이탈리아의 행정 구역 - 볼로냐 광역시
    볼로냐 광역시는 이탈리아 북서부 에밀리아-로마냐 주 중앙에 위치하며, 에트루리아에서 유래하여 로마 시대를 거쳐 현재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고, 볼로냐 대학교와 깊은 연관이 있으며, 중세 코뮌에서 교황령 지배를 거쳐 이탈리아 왕국에 편입되었고, 농업, 축산업, 자동차 산업 중심 경제를 가지고 있으며, 자연 유산 보호구역을 운영한다.
이탈리아의 주
개요
국가이탈리아
유형지역화된 단일 국가
하위 행정 구역
통계
지역 수20
인구 범위143,000명 (아오스타 계곡) ~ 10,342,000명 (롬바르디아주)
면적 범위3,261km² (아오스타 계곡) ~ 25,832km² (시칠리아)
정부
정부 형태지역 정부, 국가 정부
명칭
한국어이탈리아의 주
이탈리아어Regioni d'Italia 레조니 디탈리아
프랑코프로방스어Règions étaliènes 레종 에탈리엔
프랑스어Régions d'Italie 레종 디탈리
프리울리어Regjons de Italie 레욘스 데 이탈리에
독일어Italienische Regionen 이탈리니셰 레기오넨
슬로베니아어Italijanske Dežele 이탈리얀스케 데젤레
라딘어Regions de la Talia 레지온스 데 라 탈리아
리구리아어Regioin d'Italia 레조인 디탈리아
롬바르드어Region de Talia 레지온 데 탈리아
나폴리어Reggione d'Italia 레조네 디탈리아
사르데냐어Regiones de s'Itàlia 레조네스 데 시탈리아
시칠리아어Riggiuni d'Italia 리지우니 디탈리아
베네토어Rejon de Itàlia 레존 데 이탈리아

2. 역사

이탈리아 왕국 선포 후, 행정 조직은 중앙 집권화되었다. 1865년 법률로 프로빈차(도)와 코무네(시)의 역할을 규정했고, 프로빈차는 중앙 행정의 지방 분권화 중추 역할을 맡았다. 당시 이탈리아 왕국에는 코무네와 프로빈차는 있었으나, 레조네(주)는 지방 정부 역할을 받지 못했다. 레조네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에서 제정된다.[1]

19세기 후반, 정부 관료 피에트로 마에스트리는 통계 목적으로 여러 프로빈차를 묶어 '콤파르티멘토'를 만들었고, 이것이 현재 레조네(주)의 기원이 된다. 하지만 콤파르티멘토는 통계를 위한 지정학적 구역일 뿐, 통치나 행정 목적은 아니었다. '레조네'라는 단어는 1912년 이탈리아 통계 연감에서 최초로 등장했다.[1]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 제정 과정에서 1947년 헌법 위원회는 22개 레조네(주)를 결정했다. 그러나 국회 최종 표결 전, 레조네 수는 19개로 조정되었다. 루카니아는 바실리카타로 이름이 바뀌었고, 살렌토풀리아에 병합되었으며, 에밀리아로마냐에밀리아-로마냐로, 아브루초몰리세는 아브루치 에 몰리세로 합쳐졌다.[1]

1963년 몰리세가 자치권을 얻으면서 '아브루치 에 몰리세'는 아브루초몰리세로 나눠졌고, 이탈리아 레조네 수는 현재 20개가 되었다.[1] 레조네 설립은 1970년에 실행되었고, 1972년 대통령령을 통해 행정 구역으로서 레조네의 실질적인 설립을 선포하는 규정이 마련됐다. 레조네는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에 따라 부분적인 자치 공공단체로서 1948년부터 실질적인 효력을 갖게 되었다.[1]

이탈리아 왕국 시대 레조네(주)는 중앙 정부의 단순 통계 구역이었으나, 공화국 하에서 1948년 이탈리아 헌법에 의해 정치적 자율성을 부여받았다. 2001년 헌법 개정 이후 레조네는 상당한 수준 자율성을 획득했다. 2005년 실비오 베를루스코니가 이끄는 중도 우파 정부는 레조네의 권한을 크게 확대하는 새로운 개혁을 제안했으나, 2006년 이탈리아 헌법 국민 투표에서 부결되었다.[2]

2. 1. 이탈리아 왕국 시대 (1861년~1946년)

이탈리아 왕국 선포 후, 행정 조직은 행정적, 정치적으로 중앙 집권화되었다. 1865년 3월 20일 2248 법에서 프로빈차(도)와 코무네(시)의 역할을 규정했다. 프로빈차는 '중앙 행정의 지방 분권화의 중추'로 삼았고 지사는 프로빈차와 코무네 법(대한민국의 조례)의 국가 법령 준수를 확인하는 역할을 맡았다.[1] 이탈리아는 1889년 2월 10일 5921 칙령과 1908년 5월 21일 269 법을 따라 국토를 '프로빈차', '만다멘토', '치르콘다리오'로 분류했고, 1915년 2월 4일 148 법은 더 큰 폭의 지방 분권을 확약했다.[1]

이탈리아 왕국에는 코무네(시)와 프로빈차(도)가 있었으나, 코무네와 프로빈차 사이의 중간 단위이며 나중에 폐지되는 '만다멘토'와 '치르콘다리오' 또한 있었다. 레조네(주)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에서 제정되기 전까지 지방 정부의 역할을 받지 못했다.[1] 19세기 후반기, 정부 관료인 피에트로 마에스트리는 통계 목적으로 여러 프로빈차를 묶어 '콤파르티멘토'를 만들었고 이는 현재 레조네(주)의 기원이 된다.[1] 하지만 콤파르티멘토는 통치, 행정의 목적이 아니라 통계를 위한 지정학적 구역일 뿐이었다.[1] '콤파르티멘토'를 대체하여 '레조네'라는 단어는 1912년 이탈리아 통계 연감에서 최초로 등장했다.[1] 1870년의 콤파르티멘토와 현재의 레조네는 거의 차이가 없을 정도로, 피에트로 마에스트리가 만든 '통계상의 콤파르티멘토' 구분은 2차 세계 대전 후의 (병합되는 영토는 제외한) '레조네'의 경계와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었다.[1]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 제정 당시, 1947년 1월 31일 헌법 위원회 제2 소위원회는 피에몬테, 롬바르디아, 트렌티노-알토 아디제, 베네토,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 리구리아, 에밀리아, 로마냐, 토스카나, 움브리아, 마르케, 라치오, 아브루초, 몰리세, 캄파니아, 풀리아, 살렌토, 루카니아, 칼라브리아, 시칠리아, 사르데냐, 발레 다오스타의 22개 레조네(주)를 결정했다.[1]

그러나 국회의 최종 표결 전 편찬 위원회에서 본문이 조정되어 1947년 12월 20일 의원들에게 배부되었다. 초안과 비교하면 레조네의 수는 19개로 줄었는데, 루카니아의 명칭을 바실리카타로 바꿨고, 살렌토를 풀리아로 병합했으며, 에밀리아로마냐, 아브루초몰리세를 합쳤다.[1]

이탈리아 왕국 시대에는 레지오네(주)는 중앙 정부의 단순한 통계 구역에 불과했다.[1]

2. 2.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 제정 (1947년)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 제정 당시, 1947년 1월 31일 헌법 위원회 제2 소위원회는 22개의 레조네(주)를 결정했다. 피에몬테, 롬바르디아, 트렌티노-알토 아디제, 베네토,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 리구리아, 에밀리아, 로마냐, 토스카나, 움브리아, 마르케, 라치오, 아브루초, 몰리세, 캄파니아, 풀리아, 살렌토, 루카니아, 칼라브리아, 시칠리아, 사르데냐, 발레 다오스타였다.

그러나 국회 최종 표결 전 편찬 위원회에서 본문을 조정하여 1947년 12월 20일 의원들에게 배부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이하의 레조네를 설립한다. 피에몬테, 발레 다오스타, 롬바르디아, 트렌티노-알토 아디제, 베네토,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 리구리아, 에밀리아-로마냐, 토스카나, 움브리아, 마르케, 라치오, 아브루치에몰리세, 캄파니아, 풀리아, 바실리카타, 칼라브리아, 시칠리아, 사르데냐. 이상.»

초안과 비교하면 레조네 수는 19개로 줄었다. 루카니아는 바실리카타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살렌토풀리아에 병합되었으며, 에밀리아로마냐, 아브루초몰리세는 각각 합쳐졌다.

레조네 설립은 1970년 5월 16일 281 법으로 실행되었고, 1972년 1월 15일 이탈리아 공화국 대통령령 제8호를 통해 행정 구역으로서 레조네의 실질적인 설립을 선포하는 규정이 마련되었다. 레조네는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 114조와 115조에 따라 부분적인 자치 공공단체로서 1948년 1월 1일부터 실질적인 효력을 갖게 되었다.

:«공화국은 레조네(주), 프로빈차(도), 그리고 코무네(시)로 구성된다.» - 이탈리아 헌법 114조

:«레조네는 자치 기구로 조직되며, 헌법에 규정된 규정에 따른 자체 권한 및 기능을 가진다.» - 이탈리아 헌법 115조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로 통합되었고, 아브루치몰리세는 아브루치 에 몰리세로 합쳐졌다. 1963년 헌법 특별 수정안이 통과되면서 몰리세가 자치권을 얻었고, '아브루치 에 몰리세'는 아브루초몰리세로 분리되어 이탈리아 레조네 수는 현재의 20개가 되었다.

이탈리아 왕국 시대에 레조네(주)는 중앙 정부의 단순한 통계 구역이었으나, 공화국 하에서 1948년 이탈리아 헌법에 의해 정치적 자율성을 부여받았다. 초안에는 살렌토 지역(결국 풀리아에 포함됨)이 있었고, ''프리울리''와 ''베네치아 줄리아''는 별도 지역이었으며, 바실리카타는 ''루카니아''로 명명되었다. 아브루초와 몰리세는 초안에서 별도 지역이었으나 1948년 최종 헌법에서 ''아브루치 에 몰리세''로 통합되었다가 1963년에 분리되었다.

지역 자치(regional autonomy) 시행은 1970년 첫 지역 선거까지 연기되었다. 집권 기독교 민주당(Christian Democracy (Italy))은 야당인 이탈리아 공산당이 권력을 잡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 제2부 제5장은 지방 제도에 관한 규정을 담고 있으며, 제114조는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

  • (1) 공화국은 코무네, 현, 대도시, 주 및 국가로 구성된다.
  • (2) 코무네, 현, 대도시 및 주는 헌법이 정하는 원칙에 기초한 고유의 헌장, 권한 및 권능을 갖는 자치 단체이다.
  • (3) 로마는 공화국의 수도이다. 국가의 법률이 그 제도에 대해 규정한다.

2. 3. 레조네 설립과 자치권 확대

이탈리아 왕국 선포 후, 행정 조직은 중앙 집권화되었다. 1865년 법률로 프로빈차(도)와 코무네(시)의 역할을 규정했고, 프로빈차는 중앙 행정의 지방 분권화 중추 역할을 맡았다. 당시 이탈리아 왕국에는 코무네와 프로빈차는 있었으나, 레조네(주)는 지방 정부 역할을 받지 못했다. 레조네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에서 제정된다.

19세기 후반, 정부 관료 피에트로 마에스트리는 통계 목적으로 여러 프로빈차를 묶어 '콤파르티멘토'를 만들었고, 이것이 현재 레조네(주)의 기원이 된다. 하지만 콤파르티멘토는 통계를 위한 지정학적 구역일 뿐, 통치나 행정 목적은 아니었다. '레조네'라는 단어는 1912년 이탈리아 통계 연감에서 최초로 등장했다.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 제정 과정에서 1947년 헌법 위원회는 22개 레조네(주)를 결정했다. 그러나 국회 최종 표결 전, 레조네 수는 19개로 조정되었다. 루카니아는 바실리카타로 이름이 바뀌었고, 살렌토는 풀리아에 병합되었으며, 에밀리아로마냐, 아브루초몰리세는 합쳐졌다.

레조네 설립은 1970년에 실행되었고, 1972년 대통령령을 통해 행정 구역으로서 레조네의 실질적인 설립을 선포하는 규정이 마련됐다. 레조네는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에 따라 부분적인 자치 공공단체로서 1948년부터 실질적인 효력을 갖게 되었다.

1963년 몰리세가 자치권을 얻으면서 '아브루치 에 몰리세'는 아브루초몰리세로 나눠졌고, 이탈리아 레조네 수는 현재 20개가 되었다.

이탈리아 왕국 시대 레조네(주)는 중앙 정부의 단순 통계 구역이었으나, 공화국 하에서 1948년 이탈리아 헌법에 의해 정치적 자율성을 부여받았다. 2001년 헌법 개정 이후 레조네는 상당한 수준 자율성을 획득했다.

3. 종류

적색으로 칠해진 곳이 특별 레조네다.


레조네(이탈리아의 주)는 설립 근거가 되는 헌장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일반 레조네 (15개)
  • 특별 레조네 (5개)


모든 주는 이탈리아 헌법 (제123조)에 규정된 정부 형태, 조직의 기본 원리 및 주 기능 등을 결정하는 조례를 갖는다. 토스카나주를 제외한 모든 주는 조례의 첫 번째 조항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스스로를 "자치구"로 정의하지만,[7] 15개 주는 일반 조례를, 5개 주는 특별 조례를 가지고 있어 더 넓은 자치권을 부여받는다.

이러한 주들은 1970년에 창설되었으며, 2001년 헌법 개정 이후 잔여 입법 권한을 갖게 되었다. 즉, "주는 국가 법률에 명시적으로 유보되지 않은 모든 사항에 관하여 배타적인 입법 권한을 가진다."(제117조).[8] 그러나 재정 자율성은 상당히 미미하여, 징수된 모든 세금의 20%만을 보유하며, 이는 주로 주 기반 의료 시스템에 자금을 지원하는 데 사용된다.[9]

이탈리아 헌법 제116조는 아오스타 계곡,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 사르데냐, 시칠리아, 트렌티노알토아디제/쥐트티롤 등 5개 지역에 자치권을 부여하여, 각 지역의 특별 지위에 따라 입법, 행정 및 재정 권한을 차등적으로 부여한다. 이 지역들은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고 언어 소수자를 보호하기 위해 자치권을 얻게 되었다. 또한, 이탈리아 정부는 제2차 세계 대전 패배 이후 이들 지역이 잠재적으로 이탈리아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했다.[10]

2023년 1월 이탈리아의 주[3]
깃발주 (이탈리아어)지위인구 (명)면적 (km2)인구 밀도 (명/km2)HDI (2022)[4]수도주지사코무네 수[5]현/광역시
border
아브루초일반1,307,00010832km21180.889라퀼라마르코 마르실리오 (이탈리아 형제들)3054
border
아오스타 계곡 (발레 다오스타)자치143,0003261km2380.887아오스타렌초 테스톨린 (발도스타 연합)741
border
풀리아 (풀리아)일반3,945,00019541km22000.854바리미켈레 에밀리아노 (민주당)2576
border
바실리카타일반559,00010073km2540.862포텐차비토 바르디 (Forza Italia|포르자 이탈리아it)1312
border
칼라브리아일반1,870,00015222km21210.845카탄차로로베르토 오키우토 (Forza Italia|포르자 이탈리아it)4045
border
캄파니아일반5,615,00013671km24090.854나폴리빈첸초 데 루카 (민주당)5505
border
에밀리아로마냐일반4,452,00022453km21970.921볼로냐미켈레 데 파스칼레 (민주당)3309
border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프리울라니야-율리스카 크라지나/프리울-비네지에 줄리에)자치1,219,0007924km21510.903트리에스테마시밀리아노 페드리가 (동맹)2154
border
라치오일반5,745,00017232km23320.914로마프란체스코 로카 (무소속)3785
border
리구리아일반1,535,0005416km22780.898제노바마르코 부치 (무소속)2344
border
롬바르디아 (롬바르디아)일반10,342,00023864km24180.912밀라노아틸리오 폰타나 (동맹)1,50612
border
마르케일반1,524,0009401km21580.901안코나프란체스코 아쿠아롤리 (이탈리아 형제들)2255
border
몰리세일반324,0004461km2650.872캄포바소프란체스코 로베르티 (Forza Italia|포르자 이탈리아it)1362
border
피에몬테 (피에몬테)일반4,302,00025387km21680.898토리노알베르토 치리오 (Forza Italia|포르자 이탈리아it)1,1818
border
사르데냐 (사르데냐)자치1,604,00024100km2660.868칼리아리알레산드라 토데 (오성 운동)3775
border
시칠리아 (시칠리아)자치4,825,00025832km21860.845팔레르모레나토 시파니 (Forza Italia|포르자 이탈리아it)3919
border
트렌티노-알토 아디제/쥐트티롤 (트렌티노-알토 아디제/쥐트티롤)자치1,111,00013606km279트렌티노: 0.920트렌토마우리치오 푸가티 (동맹)2822
남티롤: 0.910
border
토스카나 (토스카나)일반3,698,00022987km21600.907피렌체에우제니오 지아니 (민주당)27310
border
움브리아일반930,0008464km21020.897페루자스테파니아 프로이에티 (무소속)922
border
베네토일반4,883,00018345km22650.900베네치아루카 자이아 (동맹)5637


3. 1. 일반 레조네

이탈리아의 20개 레조네 중 15개는 일반 헌장이 있다. 이 헌장은 법률로서 레조네 의회가 절대 다수로 채택 및 개정하되, 2개월 이상의 간격으로 2회 연속 심의한다.[3] 헌장은 공고 후 3개월 내에 주민의 50분의 1이나 레조네 의회의 5분의 1이 요청하면 주민투표에 회부된다. 주민투표에 회부된 헌장은 유효 투표의 과반수가 찬성해야 공표된다.[3]

아마토 2기 내각 시절에 통과되고 베를루스코니 2기 내각 때 승인된 2001년 개헌으로 레조네들의 자치 입법권이 더욱 커졌다.

깃발
이탈리아어 이름
지위인구[3]면적인구 밀도
(명/km2)
HDI[4] (2022년)수도주지사코무네[5]현 또는
광역 시
%km2%
아브루초일반1,307,0002.16%10832km23.59%1180.889라퀼라마르코 마르실리오
이탈리아 형제들
3054
풀리아
풀리아
일반3,945,0006.63%19541km26.48%2000.854바리미켈레 에밀리아노
민주당
2576
바실리카타일반559,0000.92%10073km23.34%540.862포텐차비토 바르디
포르자 이탈리아|Forza Italiait
1312
칼라브리아일반1,870,0003.13%15222km25.04%1210.845카탄차로로베르토 오키우토
포르자 이탈리아|Forza Italiait
4045
캄파니아일반5,615,0009.48%13671km24.53%4090.854나폴리빈첸초 데 루카
민주당
5505
에밀리아로마냐일반4,452,0007.51%22453km27.44%1970.921볼로냐미켈레 데 파스칼레
민주당
3309
라치오일반5,745,0009.69%17232km25.71%3320.914로마프란체스코 로카
무소속
3785
리구리아일반1,535,0002.56%5416km21.79%2780.898제노바마르코 부치
무소속
2344
롬바르디아
롬바르디아
일반10,342,00016.89%23864km27.91%4180.912밀라노아틸리오 폰타나
동맹
1,50612
마르케일반1,524,0002.53%9401km23.12%1580.901안코나프란체스코 아쿠아롤리
이탈리아 형제들
2255
몰리세일반324,0000.49%4461km21.48%650.872캄포바소프란체스코 로베르티
포르자 이탈리아|Forza Italiait
1362
피에몬테
피에몬테
일반4,302,0007.21%25387km28.41%1680.898토리노알베르토 치리오
포르자 이탈리아|Forza Italiait
1,1818
토스카나
토스카나
일반3,698,0006.23%22987km27.62%1600.907피렌체에우제니오 지아니
민주당
27310
움브리아일반930,0001.46%8464km22.81%1020.897페루자스테파니아 프로이에티
무소속
922
베네토일반4,883,0008.23%18345km25.97%2650.900베네치아루카 자이아
동맹
5637



모든 주는 해당 주의 헌법 역할을 하는 조례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이탈리아 헌법 (제123조)에 규정된 대로 정부 형태, 조직의 기본 원리 및 주 기능 등을 결정한다. 15개의 주는 일반 조례를 가지고 있다.[7]

3. 2. 특별 레조네



이탈리아에는 5개의 특별 레조네(특별 자치주)가 있다. 이들은 1948년 헌법률로 채택된 특별법에 따라 설립되었다(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는 1963년에 설립).

특별법은 조세 자치에서 두드러지는 특별한 자치 형태와 조건을 부여했다.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는 레조네 내에서 거둬들이는 세금의 60%를, 사르데냐는 70%, 발레다오스타와 트렌토, 볼차노 자치도는 90%, 시칠리아는 100%에 권리를 가진다. 이들은 학교, 보건, 기반시설(인프라) 분야 등에서 두드러지는 입법, 행정권을 가지고 있으며, 일반 레조네와 달리 레조네 내에서 거둬들인 수입으로 대부분의 공공 기능 재원을 충당해야 한다.

정치체제 국민투표 이전인 1946년 5월 15일 칙령으로 시칠리아가 처음으로 특별 레조네로 설립되었고, 1948년 설립 법이 통과되었다. 사르데냐는 시칠리아처럼 (독립하지 않는다면) 강한 자치권을 부여받았고, 발레다오스타는 프랑스어 화자 주민을, 트렌토-알토 아디제는 파리 조약에 따라 독일어 화자 주민을 보호하기 위해 1948년 제헌 국회에서 설립되었다. 1963년에는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가 특별 레조네로 설립되었다.

깃발주 (이탈리아어)지위인구 (명)면적 (km2)인구 밀도 (명/km2)HDI (2022)수도주지사코무네 수현/광역시
아오스타 계곡 (발레 다오스타)자치143,0003261km2380.887아오스타렌초 테스톨린 (발도스타 연합)741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프리울라니야-율리스카 크라지나/프리울-비네지에 줄리에)자치1,219,0007924km21510.903트리에스테마시밀리아노 페드리가 (북부 동맹)2154
사르데냐 (사르데냐)자치1,604,00024100km2660.868칼리아리알레산드라 토데 (오성 운동)3775
시칠리아 (시칠리아)자치4,825,00025832km21860.845팔레르모레나토 시파니 (포르자 이탈리아)3919
트렌티노-알토 아디제/쥐트티롤 (트렌티노-알토 아디제/쥐트티롤)자치1,111,00013606km279트렌티노: 0.920트렌토마우리치오 푸가티 (북부 동맹)2822
남티롤: 0.910


3. 2. 1. 자치 프로빈차

1972년 새로운 특별 레조네인 트렌티노알토아디제 주가 설립되었고, 레조네의 대부분 권한은 트렌토볼차노 두 개의 자치 프로빈차에 양도되었다.[13] 트렌티노알토아디제/쥐트티롤 레조네는 트렌토와 볼차노 두 개의 프로빈차로 구성되었으며(헌법 116조 둘째 문단), 이 프로빈차들은 레조네에 상응하는 입법권을 포함한 권한을 갖는다.[13]

트렌티노알토아디제/쥐트티롤 레조네는 권한이 해제되었다. 레조네 지사직은 트렌토와 볼차노 프로빈차 지사가 번갈아 맡는다. 행정부와 입법부가 볼차노에서도 열리면서, 청사 소재지로서 트렌토의 기능은 축소되었다.[13]

4. 이탈리아의 주 목록

(명)면적
(km²)밀집도
(명/km²)(프로빈차) 및 광역시수

롬바르디아밀라노420베르가모, 브레시아, 코모, 크레모나, 레코, 로디, 만토바, 밀라노, 몬차 에 브리안차, 파비아, 손드리오, 바레세
라치오로마334프로시노네, 라티나, 리에티, 로마, 비테르보378
캄파니아나폴리418아벨리노, 베네벤토, 카세르타, 나폴리, 살레르노550
베네토베네치아266벨루노, 파도바, 로비고, 트레비소, 베네치아, 베로나, 비첸차563
시칠리아팔레르모189아그리젠토, 칼타니세타, 카타니아, 엔나, 메시나, 팔레르모, 라구사, 시라쿠사, 트라파니390
에밀리아-로마냐볼로냐199볼로냐, 페라라, 포를리-체세나, 모데나, 파르마, 피아첸차, 라벤나, 레조 에밀리아, 리미니328
피에몬테토리노170알레산드리아, 아스티, 비엘라, 쿠네오, 노바라, 토리노, 베르바노-쿠시오-오솔라, 베르첼리
풀리아바리206바리, 바를레타-안드리아-트라니, 브린디시, 레체, 포자, 타란토257
토스카나피렌체162아레초, 피렌체, 그로세토, 리보르노, 루카, 마사 에 카라라, 피사, 피스토이아, 프라토, 시에나273
칼라브리아카탄차로128카탄차로, 코센차, 크로토네, 레조 칼라브리아, 비보 팔렌티아404
사르데냐칼리아리68칼리아리, 누오로, 오리스타노, 사사리, 수드 사르데냐[17]377
리구리아제노바282제노바, 임페리아, 라 스페치아, 사보나234
마르케안코나160안코나, 아스콜리 피체노, 페르모, 마체라타, 페사로 에 우르비노228
아브루초라퀼라119키에티, 라퀼라, 페스카라, 테라모305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152고리치아, 포르데노네, 트리에스테, 우디네[18]215
트렌티노-알토 아디제트렌토79볼차노, 트렌토282
움브리아페루자103페루자, 테르니92
바실리카타포텐차55마테라, 포텐차131
몰리세캄포바소67캄포바소, 이세르니아136
발레 다오스타아오스타38아오스타[19]74로마1971077903



2020년 1월 1일 기준 인구, 면적, 밀집도, 주도, 코무네와 프로빈차 수는 다음과 같다.

;이탈리아 북서부

:01. 피에몬테주 - 토리노

:02. 발레다오스타주 (특별 자치주) - 아오스타

:03. 리구리아주 - 제노바

:04. 롬바르디아주 - 밀라노

;이탈리아 북동부

:05. 트렌티노알토아디제주 (특별 자치주) - 트렌토

:06. 베네토주 - 베네치아

:07.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 (특별 자치주) - 트리에스테

:08. 에밀리아로마냐주 - 볼로냐

;이탈리아 중부

:09. 토스카나주 - 피렌체

:10. 움브리아주 - 페루자

:11. 마르케주 - 안코나

:12. 라치오주 - 로마

;이탈리아 남부

:13. 아브루초주 - 라퀼라

:14. 몰리세주 - 캄포바소

:15. 캄파니아주 - 나폴리

:16. 풀리아주 - 바리

:17. 바실리카타주 - 포텐차

:18. 칼라브리아주 - 카탄차로

;이탈리아 도서부

:19. 시칠리아주 (특별 자치주) - 팔레르모

:20. 사르데냐주 (특별 자치주) - 칼리아리

5. 정치

승리 연합에 따라 색상이 지정된 주 (2024년 11월 기준)


1995년 이후 이탈리아의 각 주는 중도 좌파 또는 중도 우파 연합에 의해 통치되었다. 각 연합이 통치한 주의 수는 다음과 같다.

연도중도 좌파중도 우파기타
19951190
19961190
19971190
19981280
19991550
20001190
200110100
20029110
200310100
200410100
20051640
20061541
20071541
20081370
20091280
20108120
20118120
20129110
20131280
20141730
20151730
20161730
20171640
20181460
20197121
20206140
20216140
20226140
20235150
20247130


5. 1. 주 정부 구성

각 주에는 'Consiglio Regionale'(지역 의회) 또는 시칠리아의 'Assemblea Regionale'(지역 의회)라고 불리는 선출된 의회와 'Giunta Regionale'(지역 위원회)라고 불리는 정부가 있으며, 'Presidente della Giunta Regionale'(지역 위원회 회장) 또는 'Presidente della Regione'(지역 회장)이라고 불리는 지사가 이끌고 있다. 아오스타 계곡과 트렌티노-알토 아디제/쥐트티롤 지역을 제외하고 각 지역 시민들이 직접 선출하며, 이 지역의 회장은 지역 의회에서 선출된다.

1995년 선거법에 따라, 승리한 연합은 의회에서 절대 다수의 의석을 확보한다. 회장은 'giunta'의 의장을 맡고 'assessor'라고 불리는 구성원을 임명하거나 해임한다. 직접 선출된 회장이 사임하면 즉시 새로운 선거가 치러진다.

트렌티노-알토 아디제/쥐트티롤 지역에서 지역 의회는 트렌티노와 남티롤의 두 지방 의회의 합동 회의로 구성된다. 지역 회장은 두 지방 위원 중 한 명이다.

5. 2. 상원 의석 배분

이탈리아 헌법 제57조는 상원 의원을 25세 이상의 이탈리아 시민이 지역별로 선출하도록 규정했다(18세 이상의 모든 이탈리아 시민이 전국 단위로 선출하는 하원과는 다름). 아오스타 계곡 (상원의원 1명)과 몰리세주 (상원의원 2명)를 제외하고는 어떤 주도 7명 미만의 상원의원을 가질 수 없었다.[1] 2006년부터 2020년까지 315명의 상원의원 중 6명은 해외에 거주하는 이탈리아인에 의해 선출되었다.[1]

2020년 헌법 국민투표와 2021년 헌법 개정으로 상원의원 수는 315명에서 200명으로 줄었고, 선출 연령도 하원과 마찬가지로 18세 이상으로 변경되었다. 하원의원 수도 630명에서 400명으로 감소했다.[1] 현재 해외 거주 이탈리아인은 4명의 상원의원과 8명의 하원의원을 선출한다.[1]

나머지 196명의 상원의원은 인구에 비례하여 각 주에 배정된다.[1] 개정된 헌법 제57조는 아오스타 계곡과 몰리세를 제외하고는 어떤 주도 3명 미만의 상원의원을 가질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 두 주는 각각 1명과 2명의 상원의원을 유지한다.[1]

의석 수의석 수의석 수
Abruzzo|아브루초it4Friuli-Venezia Giulia|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it4Sardinia|사르데냐it5
Aosta Valley|아오스타 계곡it1Lazio|라치오it18Sicily|시칠리아it16
Apulia|풀리아it13Liguria|리구리아it5Trentino-Alto Adige/Südtirol|트렌티노알토아디제/쥐트티롤it6
Basilicata|바실리카타it3Lombardy|롬바르디아it31Tuscany|토스카나it12
Calabria|칼라브리아it6Marche|마르케it5Umbria|움브리아it3
Campania|캄파니아it18Molise|몰리세it2Veneto|베네토it16
Emilia-Romagna|에밀리아로마냐it14Piedmont|피에몬테it14해외 선거구4


6. 하위 행정 구역

이탈리아의 주는 현(Provincia)과 광역시(Città metropolitana)로 나뉜다.
현 (Provincia)현에는 주민이 직접 선출하는 의회와 의회에서 선출되는 의장(presidente), 그리고 의장이 임명하는 평의회(giunta)가 있다. 중앙 정부(내무성)에서 임명하는 지사(prefetto)도 존재한다. 현의 중심 도시는 현청 소재지(Capoluogo di Provincia)라고 불리며, 대부분 현의 이름은 현청 소재지의 이름을 따른다.

1974년 95개였던 현의 수는 지방 자치 강화 추세에 따라 2014년 말 110개까지 증가했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사이에 비엘라현, 크로토네현, 레코현, 로디현, 프라토현, 리미니현, 베르바노-쿠시오-오소라현, 비보 발렌티아현, 올비아-템피오현, 올리아스트라현, 카르보니아-이글레시아스현, 메디오 캄피다노현, 몬차 에 브리안차현, 바를레타-안드리아-트라니현, 페르모현 등이 신설되었다.

사르데냐 자치주에서는 현급 행정 구역 통폐합이 진행 중이다. 2016년 새로운 행정 구역이 설치되었으나, 지방 자치상으로는 과도기 상태이다. 신제도에서는 칼리아리 광역시, 누오로현, 오리스타노현, 사사리현 등이 설치되었다.

2020년 1월 1일 기준 이탈리아의 주별 현황은 아래 표와 같다.[17][18][19]

주(레조네)주도면적 (km²)도(프로빈차) 및 광역시시(코무네) 수
롬바르디아밀라노23863km2베르가모, 브레시아, 코모, 크레모나, 레코, 로디, 만토바, 밀라노, 몬차 에 브리안차, 파비아, 손드리오, 바레세1506
라치오로마17232km2프로시노네, 라티나, 리에티, 로마, 비테르보378
캄파니아나폴리13671km2아벨리노, 베네벤토, 카세르타, 나폴리, 살레르노550
베네토베네치아18345km2벨루노, 파도바, 로비고, 트레비소, 베네치아, 베로나, 비첸차563
시칠리아팔레르모25832km2아그리젠토, 칼타니세타, 카타니아, 엔나, 메시나, 팔레르모, 라구사, 시라쿠사, 트라파니390
에밀리아-로마냐볼로냐22453km2볼로냐, 페라라, 포를리-체세나, 모데나, 파르마, 피아첸차, 라벤나, 레조 에밀리아, 리미니328
피에몬테토리노25387km2알레산드리아, 아스티, 비엘라, 쿠네오, 노바라, 토리노, 베르바노-쿠시오-오솔라, 베르첼리1181
풀리아바리19541km2바리, 바를레타-안드리아-트라니, 브린디시, 레체, 포자, 타란토257
토스카나피렌체22987km2아레초, 피렌체, 그로세토, 리보르노, 루카, 마사 에 카라라, 피사, 피스토이아, 프라토, 시에나273
칼라브리아카탄차로15221km2카탄차로, 코센차, 크로토네, 레조 칼라브리아, 비보 팔렌티아404
사르데냐칼리아리24100km2칼리아리, 누오로, 오리스타노, 사사리, 수드 사르데냐377
리구리아제노바5416km2제노바, 임페리아, 라 스페치아, 사보나234
마르케안코나9427km2안코나, 아스콜리 피체노, 페르모, 마체라타, 페사로 에 우르비노228
아브루초라퀼라10831km2키에티, 라퀼라, 페스카라, 테라모305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트리에스테7924km2고리치아, 포르데노네, 트리에스테, 우디네215
트렌티노-알토 아디제트렌토13616km2볼차노, 트렌토282
움브리아페루자8464km2페루자, 테르니92
바실리카타포텐차10073km2마테라, 포텐차131
몰리세캄포바소4460km2캄포바소, 이세르니아136
발레 다오스타아오스타3261km2아오스타74


광역시 (Città metropolitana)2014년 제정된 법률에 따라 현급 광역 자치 단체인 '대도시'가 규정되었다. 헌법에는 지방 자치 단체의 일종으로, 지방 자치 통일 법전에는 현과 동등한 권한을 가진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오랫동안 설치되지 않았다.

2015년까지 로마현, 밀라노현, 나폴리현, 토리노현, 바리현, 피렌체현, 볼로냐현, 제노바현, 베네치아현, 레조칼라브리아현 등 10개 현이 광역시로 전환되었다. 시칠리아주에서는 메시나현, 카타니아현, 팔레르모현이, 사르데냐주에서는 칼리아리현이 2016년에 광역시로 개편되었다.

광역시의 수장은 대도시장(Sindaco metropolitano)이라고 불리며, 중심 도시의 시장이 겸임한다. 대도시 의회는 간접 선거제로, 대도시에 포함되는 코무네의 장 및 코무네 의원의 상호 선거에 의해 의원이 선출된다.

이탈리아의 대도시(Città metropolitana)


2019년 현재 14개의 광역시(Città metropolitanait)가 있다.
특별 자치주의 하위 행정 구역아오스타 밸리 자치주에서는 1948년 특별 자치주 성립과 함께 아오스타현이 폐지되었으나, 통계 등에서는 편의상 주가 현을 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시칠리아 자치주에는 3개의 대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기존의 현(Provincia regionale)을 대체하는 6개의 코무네 자치 조합(Libero consorzio comunale)이 설치되어 있다.

프리울리 베네치아 줄리아 자치주에서는 2017년에 자치 단체로서의 현이 폐지되었고, 코무네의 연합체로서 18개의 Unione Territoriale Intercomunale이 설치되어 있다.
코무네 (Comune)주 아래에는 코무네(시, Comune)가 있다. 2020년 1월 1일 기준으로 이탈리아에는 총 7,903개의 코무네가 있다.[17][18][19] 각 주의 코무네 수는 다음과 같다.

주(레조네)코무네 수
롬바르디아1506
피에몬테1181
캄파니아550
베네토563
시칠리아390
라치오378
사르데냐377
에밀리아-로마냐328
아브루초305
풀리아257
리구리아234
마르케228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215
칼라브리아404
토스카나273
트렌티노-알토 아디제282
움브리아92
바실리카타131
몰리세136
발레 다오스타74


6. 1. 현 (Provincia)

현(이탈리아어: Provincia, Provinciait)에는 공선제 의회와 수장(presidenteit), 수장이 임명하는 평의회(giuntait)가 있으며, 이 외에 정부(내무성)가 임명하는 관선 지사(prefettoit)도 있다. 현에는 중핵이 되는 도시(Capoluogo di Provinciait)가 있으며, "현청 소재지"로 번역된다. 현의 이름은 현청 소재지의 이름이 그대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1974년 이래 현의 수는 (발레다오스타주를 현으로 포함하여) 오랫동안 95개였으나, 1990년 지방 자치법 개정 이후의 지방 분권화 속에서 증가하여 2014년 말에는 110개가 되었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신설된 현은 다음과 같다.

사르데냐 자치주에서는 현급 행정 구역의 통폐합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2016년 2월에 새로운 행정 구역이 설치되었지만, 지방 자치상으로는 과도기이다(2016년 9월 현재). 신제도에서는 사르데냐주는 아래의 1개 광역 시와 5개 현이 된다.

아래 표는 2020년 1월 1일 기준 이탈리아의 주별 현황을 나타낸다.

주(레조네)주도인구 (명)면적 (km²)밀집도 (명/km²)도(프로빈차) 및 광역시시(코무네) 수
롬바르디아밀라노23863km2420베르가모, 브레시아, 코모, 크레모나, 레코, 로디, 만토바, 밀라노, 몬차 에 브리안차, 파비아, 손드리오, 바레세1506
라치오로마17232km2334프로시노네, 라티나, 리에티, 로마, 비테르보378
캄파니아나폴리13671km2418아벨리노, 베네벤토, 카세르타, 나폴리, 살레르노550
베네토베네치아18345km2266벨루노, 파도바, 로비고, 트레비소, 베네치아, 베로나, 비첸차563
시칠리아팔레르모25832km2189아그리젠토, 칼타니세타, 카타니아, 엔나, 메시나, 팔레르모, 라구사, 시라쿠사, 트라파니390
에밀리아-로마냐볼로냐22453km2199볼로냐, 페라라, 포를리-체세나, 모데나, 파르마, 피아첸차, 라벤나, 레조 에밀리아, 리미니328
피에몬테토리노25387km2170알레산드리아, 아스티, 비엘라, 쿠네오, 노바라, 토리노, 베르바노-쿠시오-오솔라, 베르첼리1181
풀리아바리19541km2206바리, 바를레타-안드리아-트라니, 브린디시, 레체, 포자, 타란토257
토스카나피렌체22987km2162아레초, 피렌체, 그로세토, 리보르노, 루카, 마사 에 카라라, 피사, 피스토이아, 프라토, 시에나273
칼라브리아카탄차로15221km2128카탄차로, 코센차, 크로토네, 레조 칼라브리아, 비보 팔렌티아404
사르데냐칼리아리24100km268칼리아리, 누오로, 오리스타노, 사사리, 수드 사르데냐[17]377
리구리아제노바5416km2282제노바, 임페리아, 라 스페치아, 사보나234
마르케안코나9427km2160안코나, 아스콜리 피체노, 페르모, 마체라타, 페사로 에 우르비노228
아브루초라퀼라10831km2119키에티, 라퀼라, 페스카라, 테라모305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트리에스테7924km2152고리치아, 포르데노네, 트리에스테, 우디네[18]215
트렌티노-알토 아디제트렌토13616km279볼차노, 트렌토282
움브리아페루자8464km2103페루자, 테르니92
바실리카타포텐차10073km255마테라, 포텐차131
몰리세캄포바소4460km267캄포바소, 이세르니아136
발레 다오스타아오스타3261km238아오스타[19]74


6. 2. 광역시 (Città metropolitana)

2014년 "대도시, 현, 코무네의 연합 및 합병에 관한 규정"에 의해, 현급의 광역 자치 단체로서 "대도시"의 규정이 이루어졌다.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에는 지방 자치 단체의 일종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지방 자치 통일 법전에서는 현과 동등한 권한을 가진다고 규정되었지만, 오랫동안 설치되지 않았다.

2015년까지 로마현, 밀라노현, 나폴리현, 토리노현, 바리현, 피렌체현, 볼로냐현, 제노바현, 베네치아현, 레조칼라브리아현의 10개 현이 광역시로 전환되었다. 시칠리아주에서는 메시나현, 카타니아현, 팔레르모현이 2015년에 광역시가 되었고, 사르데냐주에서는 2016년에 칼리아리현이 광역시로 개편되었다.

광역시의 수장은 대도시장(Sindaco metropolitanoit)이라고 불린다. 대도시장은 중심 도시의 시장이 겸임한다. 예를 들어, 밀라노 대도시장은 밀라노 시장이 겸임한다. 대도시 의회는 간접 선거제로, 대도시에 포함되는 코무네의 장 및 코무네 의원의 상호 선거에 의해 의원이 선출된다.

2019년 현재 14개의 광역시(Città metropolitanait)가 있다.

6. 3. 특별 자치주의 하위 행정 구역

아오스타 밸리 자치주에서는 1948년 특별 자치주의 성립과 함께 아오스타 현이 폐지되었다. 통계 등에서는 편의상 주가 현을 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시칠리아 자치주에는 3개의 대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종래의 현(Provincia regionale)을 대신하는 것으로 6개의 '''코무네 자치 조합'''(Libero consorzio comunale)이 설치되어 있다.

프리울리 베네치아 줄리아 자치주에서는 2017년에 자치 단체로서의 현이 폐지되었다(선거구 단위 등의 지리적 호칭으로는 남겨졌다). 이를 대신하여 코무네의 연합체로서 18개의 Unione Territoriale Intercomunale이 설치되어 있다.

6. 4. 코무네 (Comune)

이탈리아의 주 아래에는 코무네(시, Comune)가 있다. 2020년 1월 1일 기준으로 이탈리아에는 총 7,903개의 코무네가 있다.[17][18][19] 각 주의 코무네 수는 다음과 같다.

주(레조네)코무네 수
롬바르디아1506
피에몬테1181
캄파니아550
베네토563
시칠리아390
라치오378
사르데냐377
에밀리아-로마냐328
아브루초305
풀리아257
리구리아234
마르케228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215
칼라브리아404
토스카나273
트렌티노-알토 아디제282
움브리아92
바실리카타131
몰리세136
발레 다오스타74


7. 통계적 분류

이탈리아의 주는 통계적 목적에 따라 다섯 개의 그룹으로 나뉜다. 통계지역단위명명법(NUTS 1)은 행정상 또는 지리적 구분이 아니라, 통계거시경제학적 구분이다.

번호명칭해당 레조네
1북서부리구리아, 롬바르디아, 발레 다오스타, 피에몬테
2북동부베네토, 에밀리아-로마냐, 트렌티노-알토 아디제, 프리울리 베네치아-줄리아
3중부라치오, 마르케, 움브리아, 토스카나
4남부몰리세, 바실리카타, 아브루초, 칼라브리아, 캄파니아, 풀리아
5도서 지역사르데냐, 시칠리아



마크로 지역은 유럽 연합의 1단계 NUTS이다.[6]

지도마크로 지역
이탈리아어 명칭it
주요 도시인구
2022년 1월
면적 (km2)인구 밀도
(km2)
유럽 의회 의원
%km2%
중부
Centroit
라치오
마르케
토스카나
움브리아
로마11,740,83619.91%58085km219.23%20215
북서부
Nord-Ovestit
아오스타 발레다
리구리아
롬바르디아
피에몬테
밀라노15,848,10026.87%57928km219.18%27420
북동부
Nord-Estit
에밀리아-로마냐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
트렌티노-알토 아디제
베네토
볼로냐11,561,67619.60%62003km220.63%18615
남부
Sudit
아브루초
풀리아
바실리카타
칼라브리아
캄파니아
몰리세
나폴리13,451,86122.81%73800km224.43%18218

Isoleit 또는 Insulareit
사르데냐
시칠리아
팔레르모6,380,64910.82%49932km216.53%1288


8. 경제

2018년 1인당 GDP (단위: EUR)


이탈리아의 주는 경제적으로 다양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2018년 기준, 각 주의 경제 규모와 1인당 GDP는 다음과 같다.[11]

국기명칭2018년 GDP
(100만유로)
2018년 1인당 GDP
(EUR)
2011년 GDP
(백만 PPS)[11]
2011년 1인당 GDP
(PPS)[11]
--아브루초주339억유로25,80029,43821,900
--아오스타밸리주49억유로38,9004,23633,000
--풀리아주766억유로19,00068,49616,700
--바실리카타주126억유로22,20010,51717,900
--칼라브리아주333억유로17,00032,35716,100
--캄파니아주1080억유로18,60091,65815,700
--에밀리아로마냐주1610억유로36,200139,59731,400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380억유로31,20035,85529,000
--라치오주1980억유로33,600168,60929,300
--리구리아주499억유로32,10043,06926,700
--롬바르디아주3888억유로38,600330,04233,200
--마르케주432억유로28,30040,01425,500
--몰리세주65억유로20,9006,27819,700
--피에몬테주1370억유로31,500123,33627,600
--사르데냐주349억유로21,20032,37719,300
--시칠리아주892억유로17,80082,18316,300
--트렌티노알토아디제주417억유로39,20035,04133,700
--토스카나주1180억유로31,500103,77527,600
--움브리아주225억유로25,40021,07823,200
--베네토주1630억유로33,200146,36929,600



2011년 자료를 기준으로 광역 지역별 경제 규모는 다음과 같다.[11]

코드명칭2011년 GDP
(100만유로)
2011년 1인당 GDP
(EUR)
2011년 GDP
(백만 PPS)[11]
2011년 1인당 GDP
(PPS)[11]
ITE중부3406.69억유로28,400333,47527,800
ITC북서부5114.84억유로31,700500,68331,000
ITD북동부3645.6억유로31,200356,86230,600
ITF남부2438.95억유로17,200238,74416,800
ITG1170.31억유로17,400114,56017,000
-'엑스트라레지오'27.71억유로2,712



일반적으로 북부 지역(북서부, 북동부)이 중부, 남부, 섬 지역에 비해 경제적으로 더 발전된 경향을 보인다. 특히 롬바르디아주, 트렌티노알토아디제주는 1인당 GDP가 가장 높은 주에 속하며, 칼라브리아주, 캄파니아주, 시칠리아주는 가장 낮은 주에 속한다.

참조

[1] 웹사이트 National structures http://epp.eurostat.[...] Eurostat 2011-12-06
[2] 뉴스 Speciale Referendum 2006 http://www.repubblic[...] 2006-06-26
[3] 뉴스 Population Italian Regions http://www.tuttitali[...]
[4]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globaldatala[...]
[5] 뉴스 Italian Comuni http://www.tuttitali[...]
[6] 웹사이트 ISTAT geo-demo http://demo.istat.it[...]
[7] 웹사이트 Statuti Regionali – Casa Editrice: Edizioni Simone http://www.simone.it[...] 2011-06-06
[8] 웹사이트 ICL – Italy – Constitution http://servat.unibe.[...]
[9] 간행물 Report RAI – Le regioni a statuto speciale (Italian), retrieved 21 January 2009 http://www.report.ra[...]
[10] 논문 Autonomy and Managerial Innovation in Italian Regions after Constitutional Reform http://www.med-eu.or[...] Chuo University, Faculty of Law and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2008
[11] 웹사이트 GDP per capita in the EU in 2011 http://epp.eurostat.[...]
[12] 간행물 이탈리아における国と地方の役割分担 https://www.mof.go.j[...]
[13] 문서 工藤・森下・小黒、p.86
[14] 문서 ウラル山脈以東はアジアに分類されることもある。
[15] 문서 アジアに分類されることもある。
[16] 웹인용 이탈리아 개황 http://www.mofa.go.k[...] 대한민국 외교부 유럽국 서유럽과 2018-09
[17] 웹인용 LR 2/2016 sul riordino del sistema delle autonomie locali della Sardegna http://consiglio.reg[...] 2016-06-07
[18] 문서 고리치아, 포르데노네와 트리에스테도는 2017년 9월 30일 주조례 26/2014에 따라 폐지됐다.
[19] 문서 발레 다오스타 주의 경우에는 주가 도의 권한을 행사한다. 그런 연유로 도 행정이 없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